티스토리 뷰

 

 

 

 

 

 

 

 

 

 

 

두무진()



1997년 12월 30일 명승 제8호로 지정되었다.

 백령도의 북서쪽에 있는 포구로, 지정면적은 4,500,000㎡이다.


 백령도의 원래 명칭은

곡도()로, 따오기[]가 흰날개를 활짝 펴고 나는 모습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연화리의 지명은

마을 앞에 연꽃이 많이 피는 연당이라는 연못이 있어서 연지동()이라고 부르다가

후에 연화리로 개칭한 것이다.

두무진이라는 이름은 뾰족한 바위들이 많아 생긴 모양이 마치 머리털 같다고 하여

두모진()이라 부르다가 후에 장군머리 같은 형상이라 하여 두무진으로 개칭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곳을 산림이 울창한 곳이라 하여 두모진()이라고 하였으나,

러일전쟁때 일본의 병참기지가 생긴 후로 두무진()으로 바뀌었다고도 한다.


예전부터 이곳에는 해적의 출입이 많았다고 전해지며

1832년 우리나라 최초의 선교사인 토마스가 두문진을 통해 상륙하였다.

주로 사암과 규암으로 되어 있으며,

 층리()가 잘 발달하여 곳에 따라 사총리()의 물결자국이 관찰된다.

오랫동안 파도에 의해 이루어진 병풍같이 깎아지른 듯한 해안 절벽과 가지각색의 기암괴석이 솟아 있어

금강산의 만물상과 비견되어 서해의 해금강이라 불린다.


홍도나 거제도의 해금강의 기암괴석과는 달리

 층상암벽에 코끼리바위, 장군바위, 신선대, 선대바위, 형제바위 등 온갖 모양이 조각된 바위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

홍도와 부산 태종대를 합쳐 놓은 듯한 절경이다.

특히 선대바위는

1612년((광해군5) 백령도로 귀양온 이대기()가 《백령도지(》에서

“늙은 신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극찬했을 정도로 풍광이 빼어난 곳이다.


높이 30~40m 되는 일부 암벽에는 해국()이,

 해안에는 땅 채송화 갯질경이, 갯방풍, 벌노랑이 같은 염생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큰바위 틈에서  범부채가  자라고 있다.

 <자료: 두산백과 사전> 






 

 

 

 

 

 

 

 

 

 

 

 

 

 

 

 

 

 

 

 

 

 

 

 

 

 

 

 

 

 

 

 

 

 

 

 

 

 

 

 

 

 

 

 

 

 

 

 

 

 

 

 

 

 

 

 

 

 

 

 

 

 

 

 

 

 

 

 

 

 

 

 

 

 

 

 

 

 

 

 

 

 

 

 

 

 

 

 

 

 

 

 

 

 

 

 

 

 

 

 

 

 

 

 

 

 

 

 

 

 

 

 

 

 

 

 

 

 

 

 

 

 

 

 

 

 

 

 

 

 

 

 

 

 

 

 

 

 

 

 

 

 

 

 

 

 

 

 

 

 

 

 

 

 

 

 

 

 

 

 

 

 

 

 

 

 

 

 

 

 

 

 

 

 

 

 

 

 

 

 

 

 

 

 

 

 

 

 

 

 

 

 

 

 

백령도  두무진

2105-10-09

 

 

 

김상조와 공미영이 눈으로본 세상

관리자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김상조와 공미영이 눈으로본 세상